- 제목: 큰 뜻을 품은 자여, 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가 - 정약용편 검색 | 세계철학전집 3
- 지은이 : 정약용
- 엮은이: 이근오
- 출간: 모티브
- 출판: 2025년 6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6368775
큰 뜻을 품은 자여, 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가 | 세계철학전집 3 | 정약용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태도, 말보다 행동을 중시하는 삶의 자세, 그리고 인생을 어떤 마음으로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까지 다산의 말에는 단순한 옛사람의 충고를 넘어, 오늘을 살아가
www.aladin.co.kr
다산 정약용에게서 배우는 삶의 지혜
유배지에서 꽃핀 학문의 향기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마재마을에서 태어난 정약용(1762~1836)을 생각할 때마다, 나는 인생의 역설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된다. 그가 남긴 "학불급시시학(學不及時時學)"이라는 말처럼, 배움에는 때가 없다는 진리를 몸소 실천한 삶이었기 때문이다.
정약용의 인생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시련'과 '극복'이다. 조선 후기 실학의 집대성자로 불리는 그였지만, 그의 삶은 결코 평탄하지 않았다. 천주교 박해사건에 연루되어 57세에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를 떠나야 했고, 무려 18년이라는 긴 세월을 고향을 떠나 보내야 했다.
하지만 정약용에게 유배는 좌절이 아니라 오히려 학문적 성취의 절정기가 되었다. 강진에서 그는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후대에 길이 남을 명저들을 집필했다. "곤궁할 때 더욱 학문에 힘써야 한다"는 그의 신념이 현실이 된 순간들이었다.
실용지학, 현실을 바꾸는 지혜
다산의 철학은 한마디로 '실용지학(實用之學)'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는 "학문은 현실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책상머리 이론에 그치지 않는 실천적 지식을 추구했다. 이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종종 이론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경험한다.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직장에서 써먹히지 않는다고 한탄하거나, 책에서 읽은 자기계발서의 내용이 실생활에서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느끼기도 한다. 이럴 때 다산의 "위기지학(爲己之學)" - 자기를 위한 학문이 아니라 세상을 위한 학문을 추구하라는 가르침이 새롭게 다가온다.
그의 『목민심서』에 나오는 "목민관은 백성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는 말은 단순히 조선시대 관리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오늘날 조직의 리더들, 정치인들, 그리고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하는 모든 이들에게 여전히 유효한 지침이다.
독서와 성찰의 힘
다산의 또 다른 명언 중에 "일독재독삼독(一讀再讀三讀)"이라는 말이 있다. 한 번 읽고, 다시 읽고, 또 읽으라는 뜻이다. 정보가 넘쳐나는 디지털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는 다소 구식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지금이야말로 이런 깊이 있는 독서가 필요한 때가 아닐까.
요즘 우리는 매일같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SNS 피드를 스크롤하고, 유튜브 영상을 클릭하고, 각종 뉴스 헤드라인을 훑어보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파편적인 정보 소비로는 진정한 지혜를 얻기 어렵다.
다산은 강진 유배지에서 제한된 책들을 반복해서 읽으며 오히려 더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 그는 "책을 읽을 때는 마치 옛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는 수동적인 정보 수용이 아니라 능동적인 사고 과정을 통한 학습을 의미한다.
가족에 대한 사랑과 교육철학
정약용의 인간적 면모는 가족에 대한 그의 애정에서도 잘 드러난다. 유배지에서 고향의 가족들에게 보낸 편지들은 한 아버지이자 남편으로서의 따뜻한 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들들의 교육에 관한 편지에서는 그의 교육철학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공부는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한 것이니, 억지로 하지 말고 즐겁게 하라"는 그의 가르침은 오늘날 경쟁 위주의 교육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점수와 등수에만 매달리는 공부가 아니라, 진정한 배움의 기쁨을 찾으라는 메시지로 읽힌다.
역경을 딛고 선 불굴의 정신
정약용의 삶에서 가장 감동적인 부분은 역경 앞에서도 굴복하지 않은 정신력이다. 18년간의 유배 생활 동안 그는 한 번도 절망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것도 하늘이 주신 기회"라고 여기며 더욱 학문에 매진했다.
그의 "고진감래(苦盡甘來)" -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믿음은 단순한 위로가 아니라 실제로 자신의 삶으로 증명해낸 철학이었다. 유배에서 돌아온 후에도 그는 계속해서 저술 활동을 이어가며 7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지적 탐구를 멈추지 않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크고 작은 시련을 겪는다. 취업의 어려움, 경제적 압박, 인간관계의 갈등, 건강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럴 때 다산의 "역경이야말로 최고의 스승"이라는 가르침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오늘을 사는 지혜
다산 정약용이 200여 년 전의 인물이지만, 그의 가르침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가 추구한 실학정신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도 유효한 접근법을 제시한다.
환경 문제, 사회적 불평등, 기술의 역기능 등 복잡한 현대 사회의 문제들 앞에서도 다산의 "실사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근거해서 진리를 추구하라는 자세는 여전히 유효하다. 감정이나 선입견에 휘둘리지 않고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것, 이것이야말로 다산이 우리에게 남긴 가장 소중한 유산이 아닐까.
마지막으로 그의 "경천애인(敬天愛人)" - 하늘을 공경하고 사람을 사랑하라는 말을 음미해본다. 종교적 색채를 빼고 보더라도, 자연과 인간에 대한 경외심과 사랑이야말로 우리가 잃어버리지 말아야 할 가치라는 생각이 든다.
정약용의 삶을 돌아보며 느끼는 것은, 진정한 지혜는 머리로만 깨닫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 체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의 18년 유배 생활이 단순한 고난이 아니라 위대한 학문적 성취의 토대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런 체험적 지혜 때문이었을 것이다.
우리도 각자의 자리에서 다산의 정신을 이어받아, 현실에 뿌리내린 실용적 지혜를 추구하며, 어떤 역경 앞에서도 굴복하지 않는 불굴의 의지로 살아간다면, 우리 또한 후대에 무언가 의미 있는 것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책 읽고 & 글 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리뷰] 새로운 질서 - AI 이후의 생존 전략, Navigating the Age of Artificial Minds: A Review of "Genesis" (6) | 2025.08.12 |
---|---|
AI 업무 활용법 (2) | 2025.07.27 |
[북리뷰] 100세 할머니 약국 (1) | 2025.07.16 |
[북리뷰] 마흔이 되기 전에 명상을 만나라 (2) | 2025.07.06 |
[북리뷰] 1도의 가격- 기후변화는 어떻게 경제를 바꾸는가 (5) | 202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