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기심 & 배움

50년 만에 5차 중동전쟁이 오는가?세계대전의 전조?이전 전쟁의 교훈들

by SSODANIST 2024. 4. 16.
728x90
반응형

그림_연합뉴스

https://youtu.be/BDL-gWPOma8?si=5U6oixf6dC4c4SrA

동영상_유뷰트_YTN_ 이란, 이스라엘 보복 공격...5차 중동전쟁 가나? / YTN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이끄는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 간의 현재 진행 중인 충돌이다. 전쟁이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자-이스라엘 분쟁의 일부로, 이 전쟁은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에 대한 가자 지구의 무력 침공으로 시작되었다. 이스라엘은 반격으로 대응하며 2023년 10월 8일 하마스에 공식적으로 전쟁을 선포했다.  전쟁은 6개월째 지속되고 있으며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 전쟁의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오랜 기간 이스라엘과 적대국 관계이던 친이란 무장세력의 활동이 증가했고 이는 양국 간의 긴장고조로 이어져 이란이 이스라엘의 본초를 드론과 미사일로 대규모 공격을 단행으로 연결되었다. 이번 사건 후 이스라엘의 대대적 보복공격 발언으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5차 중동전쟁으로의 확전이 예상되는 만큼 외교적 중재 및 대화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5차 중동전쟁의 여러 사안이 복잡하고 대륙별 국가별 이해관계도 복잡하기 때문에 확전은 세계대전의 전초가 될수 있기에 무엇보다 더 그 진행이 주목된다.

 

제발 확전은 안 됐으면 하는 바람으로 지난 1~4차 전쟁의 원인 및 양상 결과등을 리뷰해 보며 빠르게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가 찾아오길 희망해 본다.

사진_매일경제_https://www.mk.co.kr/news/world/10845661

1차 중동전쟁(1948~1949): 이스라엘 건국전쟁

 

'중동전쟁'이라는 용어는 다소 범위가 넓어 지역 내 다양한 ​​갈등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중동의 여러 국가가 상당히 관련되었던 최초의 주요 분쟁을 고려한다면, 제1차 중동 전쟁은 아랍-이스라엘의 독립전쟁을 들 수 있다. 1차 중동 전쟁은 이스라엘이 국가 독립을 선언한 다음 날인 1948년 5월 15일 시작되었다. 전반적으로 아랍-이스라엘 전쟁은 중동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지속적인 긴장과 갈등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 전쟁의 원인:

  • 이스라엘 독립 선언: 1948년 5월 14일, 유대인 기구의 수장인 다비드 벤 구리온(David Ben-Gurion)은 이스라엘 국가의 설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은 팔레스타인을 유대 국가와 아랍 국가로 분리할 것을 제안한 1947년 유엔 분할 계획에 기초한 것이었다.
  • 아랍의 반대: 아랍 국가들은 UN 분할 계획을 거부하고 이스라엘 건국을 불법으로 간주했습니다. 그들은 이를 팔레스타인 및 아랍인들의 권리에 대한 침해이자 이 지역의 아랍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여겼다.
  • 영토 분쟁: 유대인과 아랍 지도자 모두 팔레스타인 땅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했으며, 이는 영토에 대한 각 나라의 소유권 주장과 갈등으로 이어졌다.
  • 민족주의와 정체성: 이 전쟁은 유대인과 아랍인 모두가 지역에서 자결권과 주권을 추구하는 민족주의적 열망으로 인해 촉발되다.

- 전쟁의 양상:

  • 군사 작전: 전쟁에는 재래식 군사 작전, 게릴라전, 양측의 테러 행위가 포함되었다.
  • 국제적 개입: 주로 이스라엘군이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등 주변 국가의 아랍군과 맞서 싸웠지만, 미국, 소련 등 국제 강대국의 관심도 끌었다. 
  • 인도주의적 영향: 전쟁은 팔레스타인 아랍인과 유대인 인구의 상당한 이주를 가져왔고 이 지역에 난민 위기를 초래했다.

-  전쟁의 결과:

  • 이스라엘의 승리: 이스라엘군은 수적으로 열세이고 화력에서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전쟁에서 승리했다.
  • 영토 변경: 전쟁 후 휴전 협정으로 이스라엘 국경이 설정되었으며, 이는 UN 분할 계획에서 제안된 것보다 더 넓었다. 이스라엘은 원래의 분할 경계 너머에 있는 예루살렘, 갈릴리, 네게브 지역을 포함한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얻었다
  • . 팔레스타인 이주: 분쟁 중에 수십만 명의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도망치거나 고향에서 추방되어 대규모 팔레스타인 난민 인구가 발생했다.
  • 지역적 영향: 이 전쟁은 이스라엘과 아랍 이웃 국가 간의 수십 년간의 갈등의 장을 마련하여 중동의 지정학적 지형을 형성하고 이후 지역의 전쟁과 평화 노력에 영향을 미쳤다.


2차 중동전쟁(1956):수에즈 전쟁

 

수에즈 전쟁은 친소 노선을 펼치며 수에즈 운하를 집어삼킨 이집트에 반대하여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군이 시나이 반도를 침공한 후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군사 작전을 펼치면서 시작되었다. 전반적으로 수에즈 전쟁은 중동과 더 넓은 국제 체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지역의 주권, 탈식민지화, 세력 균형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전쟁의  원인:

  •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 1956년 7월,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Gamal Abdel Nasser)는 영국과 프랑스의 이익이 통제하는 중요한 수로인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이 지역에서 서구의 지배력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었다.
  • 전략적 고려 사항: 수에즈 운하는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주요 운송 경로였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국유화는 이 중요한 수로의 보안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 나세르 축출에 대한 열망: 이 지역에서 나세르의 영향력 증가와 소련과의 동맹은 서방 세력, 특히 영국과 프랑스를 걱정하게 했다. 또한 아랍 민족주의 운동에 대한 나세르의 지원과 이스라엘에 대한 그의 적대감에 대한 우려도있었다.

- 전쟁의 양상:

  • 이스라엘 침공: 나세르의 수사와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에 대한 지원에 위협을 느낀 이스라엘은 1956년 10월 29일 시나이 반도에서 이집트군을 제거할 목적으로 군사 침공을 시작했다.
  • 영국-프랑스 개입: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를 보호하고 질서를 회복한다는 구실로 1956년 11월 5일 이집트 목표물에 대한 공중 및 해군 공격을 개시하여 군사 개입을 했다.
  • 국제 외교: 이번 위기로 인해 분쟁에 대한 평화적 해결 방법을 찾고 추가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유엔과 미국의 개입을 포함한 강력한 외교적 노력이 촉발되었다.

- 전쟁의 결과:

  • 국제적 압력: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군대의 이집트 침공은 특히 미국과 소련으로부터 국제적인 비난을 촉발했다.
  • 정전 및 철수: 국제 사회, 특히 미국과 소련, 영국, 프랑스의 대 ​​이스라엘의 압력으로 인해 휴전에 동의했다. 이후 그들은 이집트 영토에서 군대를 철수해야 했다.
  • UN 평화유지군: 유엔 비상군(UNEF)은 휴전을 감독하고 이집트 영토에서 외국 군대의 철수를 보장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이는 유엔 평화유지군이 최초로 대규모로 배치된 사건이다.
  • 이집트의 승리: 서방 열강의 군사개입에도 불구하고 수에즈 위기는 이집트와 나세르의 정치적 승리로 끝났다.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가 지지되었고, 운하에 대한 이집트의 주권이 재확인되었다.
  • 글로벌 권력 역학의 변화: 수에즈 위기는 영국, 프랑스와 같은 전통적인 식민 세력의 영향력 감소와 이집트와 같은 탈식민 국가의 주장 강화를 강조했다. 이는 또한 중동 지역에서 미국과 소련 간의 새로운 경쟁 관계를 만들어 주었다.

3차 중동전쟁(1967):6일 전쟁

 

1967년 6월 5일부터 1967년 6월 10일까지 일어난 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를 상대로 선제공격을 감행, 단 6일 만에 대승을 거두어 엄청난 영토를 획득했던 전쟁이다. 6일 전쟁이라는 별명으로 매우 유명하다. 전반적으로 6일 전쟁은 중동 역사에서 중추적인 순간이었으며, 이 지역의 지정학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인 긴장과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 전쟁의 원인:

  • 긴장과 고조: 이스라엘과 아랍 이웃 국가, 특히 이집트(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 치하), 시리아, 요르단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 아랍 국가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력 증강과 적대적인 입장을 유지해 왔다.
  • 티란 해협 폐쇄: 1967년 5월 이집트는 이스라엘 해운에 대한 티란 해협 폐쇄를 발표하여 이스라엘이 전쟁 행위로 간주한 홍해에 대한 이스라엘의 접근을 차단했다.
  • 군사 동맹: 이스라엘은 적대적인 아랍 국가들에 의해 포위되었다고 느꼈고 임박한 공격을 두려워했으며 이스라엘의 선제공격은 전략적 위협에 대한 인식에 의해 추진되었다.

- 전쟁의 양상:

  • 선제 공격: 티란 해협 폐쇄 및 기타 도발에 대응하여 이스라엘은 1967년 6월 5일 이집트 비행장에 대한 선제 공격을 시작했다. 이 기습 공격은 이집트 공군을 무력화하고 공중권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강렬한 전투: 전쟁에서는 이스라엘이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군대와 동시에 교전하면서 여러 전선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 영토 점령: 전쟁 중 이스라엘은 이집트에서 시나이 반도, 시리아에서 골란 고원, 요르단에서 서안 지구(동예루살렘 포함)를 점령했다.

- 전쟁의 결과:

  • 이스라엘의 승리: 이스라엘군은 수적으로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단 6일 만에 광대한 영토를 점령하면서 신속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 영토 확장: 이스라엘의 영토 획득은 시나이 반도, 골란 고원, 서안지구 및 동예루살렘을 점령하는 등 중동의 지도를 크게 변화시켰다.
  • 인도주의적 영향: 전쟁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팔레스타인인과 시리아인이 이주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이 지역의 난민 위기가 더욱 악화되었다.
  • 외교적 의미: 6일 전쟁은 UN 안전보장이사회가 평화와 국경 확보를 대가로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안 242를 통과시키는 등 광범위한 외교적 영향을 미쳤다.
  • 장기적 결과: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을 포함한 전쟁의 여파는 이 지역의 갈등과 불안정의 주요 원인이었으며, 이후 평화 협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형성했다. 

4차 중동전쟁(1973): 욤 키푸르 전쟁

 

1973년 10월 이집트가 이스라엘을 기습침공하여 발생한전쟁이다. 전쟁이 일어난 당일이 욤 키푸르라는 유대교 전통의 속죄일이었기 때문에 흔히 욤 키푸르 전쟁이라고도 한다. 1973년 10월 6일에 전쟁이 시작되어 1973년 10월 25일에 끝났다. 또는 '10월 전쟁'이나 '라마단 전쟁이라고도 불린다. 욤 키푸르 전쟁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역사와 중동의 더 넓은 지정학적 분쟁의 중추적인 순간이었다.

 

-전쟁의 원인:

  • 이스라엘 점령: 이 전쟁은 1967년 6일 전쟁에서 시나이 반도와 골란고원을 포함하여 이스라엘이 점령한 영토에 대한 아랍인들의 분노로 인해 촉발되었다.
  • 실패한 평화 과정: 이전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평화 노력은 거의 진전이 없었으며, 이는 아랍 국가들 사이에 절망감을 불러일으켰다.
  • 이집트 및 시리아의 목표: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과 하페즈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유대인 명절인 욤(Yom) 기간 동안 이스라엘에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6일 전쟁에서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고 아랍의 자존심을 회복하고자 했다

- 전쟁의 양상:

  • 기습 공격: 이집트군과 시리아군은 시나이 반도와 골란고원에 있는 이스라엘 진지에 대해 공동 기습 공격을 시작했으며 이 공격으로 이스라엘의 방어가 허술해졌고 처음에는 상당한 이득을 얻었다.
  • 이스라엘의 반격: 초기 좌절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군은 재빨리 재집결하여 반격을 시작하여 이집트와 시리아군을 밀어내고 결국 수에즈 운하를 건너 이집트 영토로 들어가 골란 고원의 영토를 점령했다.
  • 국제적 개입: 미국과 소련은 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에 군사 지원을 제공하고 소련은 이집트와 시리아를 지원했다. 겱국 미소 대리전 양상이 되었다.
  • 석유 금수 조치: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끄는 아랍석유수출국기구(OAPEC)의 아랍 회원국들은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국가들에 석유 금수 조치를 취했고, 이로 인해 서구의 에너지 위기가 발생했다.
  • 정전: 전쟁은 1973년 10월 25일 UN이 중재한 휴전으로 끝났다.

- 전쟁의 결과:

  • 영토 변경:  전쟁으로 인해 영토가 크게 변경되지는 않았지만 6일 전쟁 이후 설정된 휴전선이 일부 조정되었다.
  • 외교적 영향: 전쟁은 아랍-이스라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외교적 노력을 촉발시켰고, 결국 1978년 이스라엘과 이집트 간의 캠프 데이비드 협정과 같은 평화 협상과 협정으로 이어졌다.
  • 군사적 교훈: 욤 키푸르 전쟁은 군사 작전에서 정보, 준비, 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스라엘과 아랍 이웃 국가 모두에게 군사 교리와 전략의 변화를 가져왔다.
  • 경제적 결과: 전쟁은 특히 전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친 석유 금수 조치와 그에 따른 에너지 위기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결과를 가져왔다.
  • 심리적 영향: 전쟁은 기습 공격으로 방심한 이스라엘에게 깊은 심리적 영향을 미쳤으며, 국가 안보 정책에 대한 성찰과 재평가의 시기를 가져왔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