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11

누구의 인생에나 신이 머물다 가는 순간이 있다 신이 머물다 가는 순간이란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기적이라고 부르고 어떤 사람들은 운명이라고 부르며 또 어떤 사람들은 우연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그것의 이름이 무엇이든 그것은 모두 인생의 흐름을 바꾸는 결정적인 순간이다. 늘 예상치 못하게 찾아오기도 하고 오랫동안 기다려온 보상으로 찾아오기도 한다. 그 순간은 삶에 새로운 희망을 주기도 하고 삶에 깊은 상처를 주기도 한다. 그 순간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순간은 누구에게나 다를 수 있다. 언제일지 모르지만 신은 언젠가 한번은 우리곁에 머물렀다 간다. 2023. 8. 1.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저 | 책세상 | 2018년 03월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9672862 자유론 - 예스24 비주류, 소수 의견, 이설을 향한 다수의 ‘민주적 시민’이 가하는 무형의 압력,이것도 우리는 자유라고 부를 수 있을까방종에 가까운 개별성민주주의의 모순 속의 현대인들에게 전하는 자유와 www.yes24.com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였고 최고의 사상가였던 존 스튜어트 밀의 대표작인 『자유론』은 흔히 극단적인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의 교본이라고 말한다. 이 책에서 밀은 개인의 자유와 사회의 권위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자유주의의 핵심 원리와 가치를 제시한다. 그는 자유를 인간 발전의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았고,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개인은 자신의 의식, 표현, 행동에 대해 자유롭게.. 2023. 8. 1.
내 인생의 주인공으로 살자 우리 인생은 결국 각자의 이야기이다.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각자의 나대로 살면 된다. 남들의 감정에 웃고, 울고 하는 광대가 아니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감정과 생각을 가지고 있고 각자의 취향과 취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두 목표와 꿈을 가지고 있다. 너무 남에게 맞추려고 하지 말자. 남들이 좋아하는 것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싫어할 필요 없다. 남들이 하라고 하는 것을 하고, 말라고 하는 것을 하지 않을 필요도 없다. 우리는 스스로 하고 싶은 것을 하고, 스스로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면 된다. 우리는 남들의 시선을 너무 의식할 필요 없다. 누군가의 칭찬에 기분이 좋지만 의존하지 않는며. 비난에 기분이 나쁘지만 상처받지 않는다. 남들이 부러움이 고맙지만 자만하지 않으며 무시하면 슬프지만, 그것.. 2023. 7. 27.
늘 변화가 어려운 이유 늘 그래 왔던 것 같다. 변화를 위해 싸우는 것은 쉽지 않다. 처음에는 무시당하거나 비웃음을 받을 수 있도 있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다보면 상대방도 언젠가 인정하고 존중할 때가 온다. 믿어야 한다. 모든 변화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 당신이 옳다고 믿는 일에 대해 열정적으로 행동하고, 난관을 극복하고, 타협하지 않으면 결국 변화는 시작된다. 변화는 단지 자신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당신이 싸운 목적이 공정하고 정의롭다면, 당신으로 부터 시작된 변화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간디처럼 국가인 인도의 독립뿐 아니라 전 세계의 비폭력운동에 영감을 불어넣을 수는 없겠지만 미약함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위한 시도를 멈추지는 말아야 한다. 2023. 7. 27.
변명보다는 이유를 살다보면 변명을 만들기 쉬운 상황이 정말 많다. 하지만 그것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고 해야 할 일을 찾아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성공과 행복에 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을까 2023. 7. 27.
이기거나 배우거나 지금까지 가봤던 주짓수 체육관 마다 붙어 있었던 말인것 같다. “There is no losing in jiu jitsu. You either win or you learn.” - Grand Master Carlos Gracie Sr- 처음에는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했다. 운동을 하고 경기를 했으면 이겨야지 패배가 없다니 이 무슨 어이 없는 소리인가? 하지만 이제야 한 10여년 꺽이고 깨지고 찢어지고 졸리고 다치고 구르고 가끔 이기고 하다보니 이것이 무슨 말인지 조금을 알게 되는것 같다. 주짓수를 하며 많은 것을 배우는데 그중에 가장 삶에 필요한 진리중 하나 인것 같아 글을 좀 써보려고 한다. 나는 어릴 적부터 운동을 좋아했다. 항상 최선을 다해 뛰었지만, 항상 이길 수는 없었다. 때로는 실.. 2023. 7.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