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 늘 춥지는 않다. 미세 먼지가 제법있고 포근하다.
기온: 최저 5도, 최고 15도
🌅 서툰 아침의 고백
오늘은 달리기 속도도 느리고, 글도 더듬거리기만 한다.
오랫만에 소주를 한잔 했는데 덕분에 어젯밤 3시간밖에 못 잤다. 5시 30분 알람이 울렸다. 몸은 일어나고 싶지 않다고 비명을 질렀다. '오늘은 쉬어.' '늘 같은 핑계.' '충분한 이유야.'하지만 일어났다. 왜? 잘 모르겠다. 습관? 의무감? 아니면 쉬면 무너질 것 같은 두려움?밖으로 나갔다. 달리기 시작했다. 아니, 달리기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느렸다. 거의 걷는 속도. 평소의 절반도 안 되는 속도.5분을 채우지 못했다. 3분 30초쯤에 멈췄다. 숨이 차고, 다리가 무겁고, 어지러웠다.'실패했다.' 그 생각이 먼저 들었다. '오늘도 제대로 못했다.'불완전한 하루가 시작된 느낌이었다. 심지어 새로운 주의 월요일인데...
📉 완벽주의의 저주
집에 와서 노트를 펼쳤다. 글을 쓰려고 했다. 하지만 머리가 하얗다. 생각이 정리되지 않는다. 문장이 나오지 않는다.억지로 쓰기 시작했다."오늘 못했다. 못 잤고, 달리기도 제대로 못했고..."쓰다가 멈췄다. '이게 무슨 글이야?' '매일 이런 식으로 변명만 적을 거야?'노트를 덮으려다가 멈췄다. 그리고 다시 생각했다.'완벽하지 않으면 안 쓰는 거야? 잘 쓰지 못하면 아예 안 쓰는 거야?
'40대 후반을 살며 깨달은 것: 완벽주의는 독이다. 특히 나 같은 사람에게는.완벽주의자는 완벽하지 않으면 시도하지 않는다. 100점 아니면 0점. 중간이 없다.하지만 인생은 중간투성이다. 70점, 60점, 50점. 때로는 30점. 그래도 괜찮다. 0점보다는 낫다.완벽하려는 마음은 나를 긴장하게 하지만,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순간 마음은 오히려 편안해진다.
🎭 완벽의 가면
프레젠테이션 준비를 한다. 다음 주 월요일 보고 자료를 폰트, 색상, 레이아웃. 완벽하게 만들었다. 3일 동안 집중하며 만들었다.그러나 완벽 했을까? 그런건 없다. 맞다. 완벽한 것을 만들려다가 마감을 놓치는 것보다, 불완전하지만 제때 내는 것이 낫다.달릴 때의 불규칙함, 글쓰기의 어설픔까지도 오늘의 나로 받아들인다. 3분 30초 달리기.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0초보다 낫다.세 문장 글쓰기. 어설프다. 하지만 빈 페이지보다 낫다.80점짜리 프레젠테이션.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마감을 지킨다.
💔 불완전함의 발견
오후, 아내와 대화."요즘 당신 너무 무리하는 것 같아.""일이 많아서 어쩔 수 없어.""완벽하게 하려고 하지 마. 적당히 해.""적당히 하면 인정받지 못해.""인정받으려고 죽어라 일하다가 쓰러지면 어떡해?"맞는 말이다. 하지만 쉽지 않다. 승진에서 밀리고 후배들이 나를 추월하고. 정년까지 10년도 안 남았다.이 상황에서 '적당히' 할 수 있나? 더 열심히 해야 하지 않나?하지만 아내는 계속했다. "당신이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거, 그거 착각이야. 아무도 당신에게 완벽을 요구하지 않아. 당신 스스로 요구하는 거지."그 말을 듣고 멈췄다.
맞다. 상사도, 동료도, 가족도 내게 완벽을 요구하지 않는다. 나 스스로 요구한다.왜? 불완전한 나를 사랑할 수 없으니까. 완벽해야만 가치 있다고 믿으니까.그렇게 나는 부담 없이 계속할 수 있다.불완전해도 괜찮다고 인정하면, 시도하기 쉬워진다. 실패해도 괜찮으니까.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시도하기 무섭다. 실패하면 안 되니까.
🌱 아이의 불완전함
아들과의 짧은 산책..."아빠, 수학 시험 50점 받았어.""50점?""응. 미안해." 예전 같았으면 화를 냈을 것이다. "공부 안 했어?" "왜 이렇게 못해?" 하지만 오늘은 다르게 물었다. "힘들었겠다. 어디가 어려웠어?" 아들이 놀란 표정으로 나를 봤다. "화 안 내요?""화내면 점수 올라?""아니요." "그럼 화낼 이유가 없지. 어디가 어려웠는지 말해봐." 아들이 설명했다. 미적분. 이해가 안 된다고. 선생님 설명도 어렵고, 학원도 도움이 안 된다고. "그럼 같이 공부해볼까? 아빠도 미적분 잘 못하지만, 같이 해보자.""정말요?""응. 완벽하지 않아도 돼. 조금씩 나아지면 돼."아들의 얼굴이 밝아졌다. 처음 보는 표정이었다.
그때 깨달았다. 나는 아들에게도 완벽을 요구했구나. 100점 아니면 실패라고 가르쳤구나. 하지만 인생은 그렇지 않다. 50점도 괜찮다. 60점도 괜찮다. 중요한 건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불완전함을 인정하는 순간, 길이 열린다."
🎨 예술가의 불완전함
점심시간에 잠깐 회사 근처 미술관에 갔다
누군지 기억안날 유명한 사람 그의 초기작들. 서툴다. 색이 탁하고, 형태가 불안정하고, 구도가 어색하다. 하지만 후기작들. 완벽하지 않다. 오히려 더 거칠다. 붓 터치가 난폭하고, 색이 과장되고, 형태가 왜곡됐다.하지만 아름답다.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아름답다. 그 불완전함이 감정을 전달한다.
옆에 있던 설명문: "작가는 말년에 점점 더 자유롭게 그렸다. 사실성을 포기하고 감정을 표현했다. 완벽한 그림이 아니라 진실한 그림을 그렸다."진실한 그림. 완벽한 그림이 아니라.나도 그렇게 살고 싶다. 완벽한 삶이 아니라 진실한 삶.레너드 코헨이 노래했다. "There is a crack in everything. That's how the light gets in." (모든 것에는 금이 있다. 그래서 빛이 들어온다.)불완전함이 나쁜 게 아니다. 그 금을 통해 빛이 들어온다. 완벽하면 빛이 들어올 틈이 없다.
🪶 그날의 프레젠테이션
화요일 (수정: 원래 월요일이어야 하는데), 프레젠테이션 날. 80점짜리 자료. 완벽하지 않다. 몇 가지 슬라이드는 개선할 여지가 있다. 데이터도 더 보완할 수 있다.하지만 제출했다. 완벽하지 않아도.발표 시작. 떨린다. 실수할까 봐. 질문에 답하지 못할까 봐.하지만 발표했다. 불완전하지만.중간에 실수했다. 슬라이드 순서를 헷갈렸다. "죄송합니다. 잠깐만요." 다시 찾았다.예전 같았으면 패닉했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은 괜찮았다. '실수해도 괜찮아. 인간이니까.'
질문이 나왔다. "이 데이터 출처가 뭡니까?"모른다. 후배가 준비한 자료인데, 출처를 확인 안 했다."죄송합니다. 정확한 출처는 확인 후 보고드리겠습니다."예전 같았으면 변명했을 것이다. 하지만 오늘은 솔직했다. 모르면 모른다고.발표가 끝났다. 완벽하지 않았다. 하지만 괜찮았다.결심은 늘 반듯할 필요는 없다.매일 달리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어떤 날은 3분만 달린다. 어떤 날은 걷는다. 어떤 날은 아예 못한다.구부러지고, 울고, 흔들려도 여전히 결심이다.완벽한 결심을 기다리면 영원히 시작할 수 없다. 불완전한 결심이라도 시작하는 게 낫다.오늘의 나처럼.
📝 불완전한 기록
노트를 본다. 어느 주으ㅏ 기록, "3분 30초만 달렸다. 실패." "프레젠테이션 실수했다. 하지만 괜찮았다." "글이 잘 안 써진다. 그래도 쓴다." 단점 많은 기록이었지만, 내가 해야 할 일은 해냈다. 완벽하게 하지 못했다. 하지만 했다. 시도했다. 포기하지 않았다. 이 작은 완료가 오늘 나의 자존을 붙든다.
자존감은 완벽함에서 오지 않는다. 시도에서 온다. 불완전해도 계속하는 것에서 온다. 나는 완벽하지 않다. 좋은 직장인도 아니고, 좋은 아버지도 아니고, 좋은 남편도 아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매일 시도한다. 불완전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다.
☀️ 불완전함이라는 자유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이 문장을 큰 글씨로 노트에 적는다.
완벽하지 않아도 사랑받을 수 있다.
완벽하지 않아도 가치 있다.
완벽하지 않아도 충분하다.
브레네 브라운은 말했다. "불완전함이 우리를 아름답게 만든다." 완벽함은 차갑다. 접근할 수 없다. 하지만 불완전함은 따뜻하다. 인간적이다.나는 오늘도 계속했고, 그것만으로 충분하다.
3분 30초 달렸다. 5분이 아니지만 괜찮다.세 문장 썼다. 한 페이지가 아니지만 괜찮다.80점짜리 프레젠테이션 했다. 100점이 아니지만 괜찮다.완벽함의 노예에서 벗어났다. 이제 불완전함의 자유를 누린다.
🌿 당신에게
혹시 당신도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100점 아니면 실패라고 믿나요?
불완전한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나요?
놓아주세요.
불완전해도 괜찮습니다.
70점도 괜찮습니다. 50점도 괜찮습니다.
0점보다 낫습니다.
실수해도 괜찮습니다. 넘어져도 괜찮습니다.
다시 일어서면 됩니다.
당신의 가치는 완벽함에 있지 않습니다.
시도하는 것, 계속하는 것, 포기하지 않는 것.
그것이 당신의 가치입니다.
불완전한 당신을 사랑하세요.
그래야 계속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나는 불완전했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았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불완전함의 용기, 그것이 진짜 용기다.
🌿 오늘도, 우리는 불완전하게 계속합니다.
'5분 뛰고 & 5분 글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매일 5분 뛰고 5분 글쓰기_2025년 11월 26일_수요일의 체력 - 몸은 쓴 만큼 남는다 (0) | 2025.11.26 |
|---|---|
| 매일 5분 뛰고 5분 글쓰기_2025년 11월 25일_ 다시 시작하는 힘 (The Power to Begin Again) (0) | 2025.11.26 |
| 매일 5분 뛰고 5분 글쓰기_2025년 11월 23일_마음의 겨울을 지나며 (Passing Through My Inner Winter) (1) | 2025.11.23 |
| 매일 5분 뛰고 5분 글쓰기_2025년 11월 22일_조용한 기쁨 (Quiet Joy) (0) | 2025.11.22 |
| 매일 5분 뛰고 5분 글쓰기_2025년 11월 21일_흔들림과 마주 앉다 (Sitting with My Wavering Self) (1) | 2025.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