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마흔의 기술
- 주제: 나이 들수록 지혜, 행복, 가족, 관계, 내면이 충만해지는 검색
- 저자: 이호선
- 출판: 오아시스
- 출간: 2025년 10월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72975026
마흔의 기술 | 이호선
대한민국 대표 중년 멘토 이호선 저자가 불안하고 막막한 40대를 보내고 있는 3040 독자를 위해 《마흔의 기술》을 출간했다. 이 책은 저자가 수많은 중년을 만나며 ‘40대는 인생을 완성하는 시
www.aladin.co.kr
무너지지 않고 흔들리는 법을 배우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은 나이"
이호선 교수의 책 제목을 보는 순간, 나는 웃음과 함께 묘한 위로를 받았다. 마흔을 앞줬을때, 혹은 마흔을 지나며 느끼는 이 복잡미묘한 감정을 이보다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까? 죽을 만큼 힘들지만, 그래도 떡볶이는 먹고 싶은 이 아이러니. 그게 바로 나였다. 뭐 딱히 떡복이를 좋아하진 않지만 죽고 싶지만 생라면에 소주는 하잔 하고 싶은 나이랄까?
흔들림을 인정하는 용기
"흔들릴 수 있지만 방법을 모르면 무너진다."
이 문장이 가슴을 파고들었다. 그동안 나는 흔들리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마흔이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야 하고, 안정적이어야 하고,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책을 펼치는 순간 깨달았다. 문제는 흔들리는 것 자체가 아니라, 흔들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몰랐다는 것.
이호선 교수는 말한다. "마흔은 다를 거라 기대하지 마라." 얼마나 정직한 말인가. 나는 서른을 넘기면, 마흔이 되면 뭔가 달라질 거라고 기대했다. 더 성숙해지고, 더 여유로워지고, 인생의 해답을 찾게 될 거라고. 하지만 마흔은 그저 마흔일 뿐이었다. 그리고 지금 오십을 바라보면서 여전히 불안하고, 여전히 흔들리고, 여전히 답을 찾지 못한 나 자신이 거기 있었다.
불안과 싸우는 대신, 불안과 함께 걷기
책의 1장 '생각의 기술'에서 저자는 "불안하다면 시간 낭비 말고 일단 뛰어라"고 조언한다. 이 말이 처음엔 무책임하게 들렸다. 불안한데 어떻게 뛰냐고.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는 불안 속에서 너무 오래 멈춰 있었다. 완벽한 계획을 세우려고, 모든 위험을 제거하려고, 확신이 들 때까지 기다리다가 결국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40대는 유독 불안한 시기다. 저자의 말처럼, 이 세대는 위로는 부모님을 모셔야 하고, 아래로는 자녀를 키워야 하며, 직장에서는 아직 윗선의 눈치를 봐야 하는 샌드위치 세대다. 거기다 체력은 떨어지고, 새로운 세대는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노후 걱정은 실제로 다가온다. 불안하지 않을 수가 없다.
하지만 여기서 필요한 건 불안을 없애려는 노력이 아니라, 불안 속에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용기다. 저자가 강조하는 것도 바로 이것이다. 무너지지 않는 비결은 흔들리지 않는 것이 아니라, 흔들리면서도 계속 걷는 것.
나를 무너뜨리는 건 결국 나였다
2장 '감정의 기술'을 읽으며 가장 뼈아팠던 부분은 "남의 삶만 훔쳐보면 내 삶을 망친다"는 대목이었다. SNS를 열면 보이는 성공한 동창들, 행복해 보이는 가족들, 여행 다니는 지인들. 나는 알게 모르게 그들과 나를 비교하며 나 자신을 깎아내리고 있었다.
"짜증 폭발? 남 탓이 아니라 내 탓이다." 이 문장도 마찬가지다. 나는 내가 불행한 이유를 자꾸 밖에서 찾았다. 회사가, 가족이, 사회가, 경제가 문제라고 생각했다. 물론 외부 요인도 중요하다. 하지만 정작 나를 무너뜨린 건 그런 상황에 대처하는 나 자신의 태도였다.
저자는 도파민 중독, 쇼츠 영상, 게임, 과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모든 것들이 일시적인 위안을 주지만 결국 나를 더 공허하게 만든다는 것을. 나는 스스로를 돌아봤다. 스트레스받으면 휴대폰을 집어 들고,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먹고, 해야 할 일은 미루고 영상만 보던 나 자신을.
변화하려면 먼저 내가 나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걸 인정하는 용기가 필요했다.
관계, 그 아름답고도 힘든 숙제
3장과 4장을 읽으며 가장 많이 눈시울이 붉어졌다. "가족이 불행하다면 '말' 때문이다." 저자의 이 말이 가슴을 찔렀다. 나는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게 가장 함부로 대했다. 피곤하다는 이유로, 바쁘다는 이유로, 당연하다는 이유로.
"매일 싸우다 정 떨어진 부부가 다시 신혼처럼 사는 법", "막 대해도 되는 사람은 없다", "소중한 사람을 방치하면 반드시 후회한다" - 이 모든 챕터들이 나에게 경종을 울렸다.
마흔이 되면 깨닫는다. 결국 남는 건 사람이라는 것을. 돈도, 명예도, 성공도 중요하지만,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곁에 있어줄 사람은 내가 지금 어떻게 대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을.
저자의 말대로 "마흔 이후 혼자 싸우는 사람은 지게 마련"이다. 나는 그동안 너무 혼자 견디려고 했다. 도움을 청하는 것이 약함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진짜 강함은 내 약함을 인정하고 손을 내미는 용기에서 나온다는 걸 이제야 안다.
오늘부터 바꾸는 용기
5장 '품격의 기술'에서 저자는 말한다. "마흔에 달라지고 싶다면 오늘부터 바꿔라." 내일부터가 아니라 오늘부터. 이것이 이 책이 주는 가장 큰 선물이다.
"노력 없이 행복을 바라는 건 도둑놈 심보다." 이 직설적인 표현이 좋았다. 나는 그동안 행복을 받아야 할 권리처럼 여겼다. 하지만 행복은 권리가 아니라 선택이고, 노력이고, 습관이었다.
"당당해지고 싶다면 책부터 펼쳐라", "자신감이 바닥났다면 거울부터 봐라" - 이 모든 조언들은 결국 하나로 귀결된다. 변화는 거창한 데서 오는 게 아니라, 작은 실천에서 온다는 것.
마흔, 무너지지 않고 살아가는 법
이 책을 덮으며 나는 깨달았다. 마흔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는 것을. 흔들리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을.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흔들리면서도 일어서는 용기라는 것을.
이호선 교수의 '마흔의 기술'은 단순한 자기계발서가 아니다. 이것은 마흔을 살아가는, 혹은 마흔을 앞둔 우리 모두를 위한 생존 매뉴얼이자 위로의 편지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은" 우리에게 필요한 건 완벽함이 아니다. 그저 오늘 하루를 버티고, 내일을 향해 한 걸음 나아가는 용기면 충분하다. 떡볶이를 먹고 싶다는 그 작은 욕망이, 사실은 우리가 아직 살아있고 싶어 한다는 증거니까.
나는 오늘부터 바꾸기로 했다. 완벽하게가 아니라, 조금씩. 무너지지 않게가 아니라, 무너져도 다시 일어서는 법을 배우면서.
마흔도 오십도, 이제 두렵지 않다. 흔들릴 수는 있지만, 이제 나는 방법을 안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용감하다.
※ 이 책은 흔들리는 모든 마흔들에게, 그리고 용기를 잃어버린 모든 이들에게 권합니다.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 모두 함께 흔들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게 괜찮습니다.
'책 읽고 생각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북리뷰] 마지막 부의 공식_ 코디산체스 (0) | 2025.10.31 |
|---|---|
| 브레이브_라이언 홀리데이 (0) | 2025.10.25 |
| 다산의 문장들 (0) | 2025.10.21 |
| [북리뷰] 정리하는 뇌 (1) | 2025.10.15 |
| [북리뷰] 2026 비즈니스 트렌드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