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명언 & 생각181 즐거움은 어디에도 추가할 수 있다. 연습에서 고통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과정에 즐거움은 추가할 수 있다 살아가는것도 일하는 것도 모든 것이 연습하고 노력하는 것의 과정이다.이러한 과정은 성장과 발전에 필수적이다. 연습을 통해 새로움을 습득하고 능력을 향상시키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이 과정은 늘 고통스럽다.가끔 즐겁기도 하겠지만늘 고통일 가능성이 많다. 고통은 늘 실패와 좌절을 결과물로 만들고때로는 한계로 몰아가기도 한다. 그렇기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과정의 고통을 인정하면서도 즐거움을 찾는 것이다. 연습의 고통은 불가피한 것일 수 있지만 그것을 극복하는 것은 우리 각자의 태도에 달려 있다. 다가오는 고통을 피할 수는 없지만다가가는 방식을 바꿈으로써 과정을 즐길 수 있다. 자기 인식을 높이고인내심을 기르며.. 2024. 6. 3. 찬란한 순간을 기다리지 않는다. 매 순간을 찬란하게 만든다. 찬란한 순간을 기다리지 않는다매 순간을 찬란하게 만든다- 박웅현 다시 책은 도끼다 - 매 순간을 찬란하게 만드는 삶 우리는 늘 인생에서 찬란한 순간들을 기다린다. 대단한 성취, 큰 성공, 또는 특별한 사건들이 우리의 삶을 빛나게 해 줄 것이라 믿으며 살아간다. 하지만 진정한 찬란함의 순간은 절대 그렇게 다가오지 않는다. 우리가 매일 매 순간을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따라올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삶을 살아가는 방식에 따라삶의 가장 평범한 순간들조차도 빛날 수 있다.아침에 일어나 창밖을 바라보는 순간가족과 함께하는 식사의 시간 친구와의 대화, 일터에서의 작은 성취들… 이 모든 순간들이 우리의 삶의 소중한 순간들이다. 이 시간에 의미를 부여하고감사의 마음을 갖고 진심을 다해 살아간다면그 매 순간이 무엇.. 2024. 6. 1. 야망과 열망은 다르다. 야망과 열망은 종착지가 다르다.야망은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이나 열망은 되고자 하는 사람이다 사람은 누구나 성공 및 성취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그에 따라 일부는 욕구의 충족을 위해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하여 그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야망을 품는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단순히 어떤 결과물을 얻으려는 것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열망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비슷해 보이지만 야망과 열망은 지향하는 것도 끝의 결과도 다르다. 그렇다면 이 둘의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야망이란 욕구의 한 종류로 성공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야망을 가진 사람들은 미래에 이루고자 하는 성공적인 결과에 집중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 정진한다. 그들은 자신을 넘어서고 발전시켜 주변의 경.. 2024. 5. 29. 우리는 모두 별의 후손이다_ 과학적 & 인문적 사유 [별에서 온 우리: 인간의 우주적 기원에 대한 단상] 모든 인간은 별에서 왔다 과학적 사유 모든 인간이 별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우주의 탄생과 생명의 기원에 대한 천문학의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특히 빅뱅 이론과 항성 진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설명된다. 별의 생명주기는 핵융합 반응을 통해 무거운 원소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무거운 원소들은 행성이 폭발할 때 (빅뱅이 일어날 때) 생성된다는 것이다. 즉 우리 몸을 구성하는 원소들, 특히 수소, 산소, 질소, 탄소, 인, 황과 같은 원소들은 별의 내부에서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수십억 년 전 거대한 별들이 초신성으로 폭발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별이 죽으면서 이 원소들은 우주 공간으로 퍼져 나가고, 이후에 새로운 별과 행성을 형성하는 데 .. 2024. 5. 29. 모르는 것도 배우는 것도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모르는 것도 배우는 것도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배우지 않고 알려하지 않는 것이 정말 부끄러운 것이다" 드라마 스토브리그에는 정말 많은 명대사들이 등장한다.드라마를 보면서 작가분이 궁금했던 적은 처음이었다.2016년 하반기 MBC 드라마 극본 공모 미니시리즈 부분에 바로 이 드라마 '스토브리그'로 당선되면서 드라마 작가로 데뷔했다고 하는데 그동안의 노력과 내공이 느껴졌다. 수많은 명대사들 중 오래도록 기억나는 주인공의 대사가 있다.인생을 살아가면서 가장 중요한 태도중 하나가 러닝 어질리티(learning agility)라고 생각하는데이것을 가장 잘 설명하고 표현한 말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배움의 가치를 느끼지도 못하고 노력하지도 않으며 중도에 수많은 포기를 하는 우리가 꼭 가져야 할 마음 가짐인 것 같다.. 2024. 5. 27. 모든 실수를 다 겪기에는 인생이 짧다. 남들의실수에서 배워야 한다.그 실수를 다 직접 겪어보기에는인생이 짧다.- 샘 혼의《적을 만들지 않는 대화법》중에서 - 인생은 짧고, 경험해야 할것은 너무나 많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의 경험을 통해 인생을 오롯이 배우려 하지만 때로는 타인의 실수에서 교훈을 얻는 것이 보다 현명 할 수 있다.누구나 살아가며 타인의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다. 타인의 실패와 실수는 우리의 삶에 지도가 되고 모두를 같은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준다. 인생은 한정된 시간이다. 모든 실수를 직접 겪으며 배우려 한다면 우리는 삶의 많은 시간을 반성하고 배우는 일해 할애해야 할것이다. 대신, 타인의 실수를 관찰하고 그것에서 교훈을 얻어 우리의 삶에 적용함으로써 좀더 의미있는 것에 인생의 시간을 쓸 수 있다.경험상 지혜로운 사람은.. 2024. 5. 27. 이전 1 ··· 5 6 7 8 9 10 11 ··· 31 다음 728x90 반응형